고정IP 설정 방법 2가지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사용하는 기기의 IP를 변경되지 않게 설정하고 싶으시다면 이 글을 끝까지 잘 읽어 주시기를 바랍니다. 이미지와 함께 최대한 쉽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 가지 주의할 것은 고정IP 설정이라는 말이 통용되는 것은 공유기에 물려있는 각각의 기기에 해당하는 이야기입니다.
네이버 등에서 아이피 확인을 통해서 체크할 수 있는 각 가정의 메인 IP 주소는 업체가 할당한 그대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건드릴 수 없다는 점 미리 말씀드립니다.

고정 IP 설정 방법 2가지
1. 윈도우 고정IP 설정
1-1.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으로 들어가기.
먼저 윈도우 시작 버튼을 눌러 설정(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 전체 설정 화면을 띄워줍니다. 윈도우 설정화면 왼쪽에서 각각의 세부 항목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네트워크 및 인터넷으로 들어가 주세요.

네트워크 및 인터넷으로 들어가 아래로 스크롤를 계속 내리시다 보면 고급 네트워크 설정이 가장 아래에 있습니다. 해당 탭을 클릭하여 들어가 줍니다.
1-2. 추가 어댑터 옵션 들어가기
고급 네트워크 설정의 상단에는 현재 사용중인 네트워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탭을 클릭하여 항목을 열어주면 가장 아래에서 추가 어댑터 옵션을 찾을 수 있는데요. 해당 항목을 클릭하면 이더넷 속성 값을 지정하는 속성 창이 나옵니다.
1-3.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 속성 클릭

이더넷 속성 창에서 항목을 살펴보다 보면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TCP/IPv6)라는 메뉴가 나올텐데요. 해당 메뉴를 한번만 클릭한 뒤 오른쪽 아래에 있는 속성을 눌러줍니다.
1-4. 고정IP 입력하고 설정하기.
이제 속성 화면에서 다음 IPv6 주소 사용을 눌러 고정IP값을 입력하기만 하면 되는데요. 주의할 것은 고정IP(IPv6 주소)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기존의 값을 입력해 주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기본 설정 DNS 서버 등의 정보는 제가 전에 작성한 컴퓨터 MAC 주소 확인 방법을 통해서 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글에서 처음에 소개한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all 명령어를 사용하면 입력해야 하는 모든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입력하실 때 주의할 실 점이 한 가지 있는데요. 서브넷 마스크가 단순히 입력만 하게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서브넷 접두사 길이 라는 형태로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아래의 표를 보시고 해당하는 숫자를 맞춰 입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브넷 접두사 길이
접두사 길이 | 서브넷 마스 |
---|---|
/24 | 255.255.255.0 |
/25 | 255.255.255.128 |
/26 | 255.255.255.192 |
/27 | 255.255.255.224 |
/28 | 255.255.255.240 |
/29 | 255.255.255.248 |
/30 | 255.255.255.252 |
/31 | 255.255.255.254 |
고정IP 설정 주의점
고정IP를 입력하실 때는 주의점이 하나 있는데요. 위에서 찾은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에서 마지막 3자리만 변경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본 게이트웨이가 192.168.222.1이라면 고정IP 주소는 192.168.222.XXX형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이것만 주의하셔서 입력하신 후 확인을 누르고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아이피가 고정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공유기 고정IP 설정
공유기에서 내 컴퓨터의 고정IP 설정을 하는 법은 완전히 상세하게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기본적인 원리는 모두 동일하지만, 공유기 업체마다 설정이 다를 수도 있고 해당 설정의 위치가 상이할 수도 있기 때문이죠.
여기서는 기본적인 방법과 해당 항목의 이름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업체별로 조금만 더 찾아보시기를 바랍니다.
2-1. 공유기 관리자 화면으로 들어가기.
공유기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서 인터넷 주소창에 공유기 관리자 화면으로 들어가는 IP를 입력하여 공유기의 관리자 화면으로 들어가 줍니다.

위 예시는 아이피타임 공유기의 관리자 화면이며, 아이피타임 공유기의 관리자 접속 주소는 192.168.1.1입니다.
업체별로 각기 다른 방법의 주소를 사용하고 있으니 해당 내용은 공유기 뒷면의 접속 주소를 확인해 주세요.
2-2. DHCP 설정에서 DHCP 고정 설정을 찾자.
공유기의 관리자 화면에 접속하셨다면, 우선 DHCP 설정을 찾아 들어가 줍니다. 해당 설정은 보통 상태 설정의 하위에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항목을 꼼꼼하게 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예시로 들었던 아이피타임 공유기의 경우 관리자 – 관리도구에서 고급 설정으로 들어가면 DHCP 서버 설정이라는 항목에서 관련 설정을 만질 수 있습니다.
DHCP 설정에 들어가면 다양한 설정이 있을 수 있는데요. 그중에 DHCP 고정, IP관련 설정으로 찾아 들어가줍니다.
주의할 점은 공유기로 고정IP 설정을 시도할 때는 공유기에 연결된 모든 기기의 내역이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그중 어떤 것이 고정IP로 사용할 기기인지 구분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MAC 주소를 알고 계셔야 합니다. 아래에서 다시 한번 컴퓨터 MAC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을 남겨두었습니다.
2-4. 고정IP 입력하고 설정 완료하기
마찬가지로 고정시킬 IP주소는 기본 게이트웨이에서 마지막 3개의 숫자만 바뀐 것을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공유기에서 설정을 완료한 뒤 재부팅을 하고, 컴퓨터를 다시 껐다 켜면 설정한 주소로 IP가 고정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고정IP 설정 방법 2가지를 알려드렸는데요. 고정IP 설정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