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상해등급 1급부터 14급 정리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교통사고 상해등급 1급부터 14급까지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교통사고 상해등급은 사고로 발생한 신체적인 피해를 심각성을 기준으로 나눈 것인데요. 보험료 산정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합니다.

교통사고 상해등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책임보험 한도 금액이란?

아래에서 상해등급 1급부터 상해등급 14등급까지 어떤 상해가 해당되는지 정리해 드릴텐데요. 표를 보시면 급수 옆에 책임보험 한도에 따른 금액이 적혀있습니다.

이게 무슨 뜻이냐 하면 자동차보험을 구성하는 2가지 요소 중에 의무가입하게 되어있는 책임보험이라는 것에서 인적 피해를 보장하는 대인배상1에 따른 최대 보상한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가장 흔하게 판정이 되는 교통사고 상해등급 12등급의 상해를 당한 상황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가해자가 책임보험인 대인배상1에만 가입하고 있는 경우 얼마나 많은 치료비가 나오더라도 120만원 이상의 보상을 받을 수가 없게 됩니다.

그 이상의 피해를 보상받기 위해서는 구상권을 청구하는 등의 추가적인 법적인 절차를 밟아야 하기 때문에 아주 피로해 집니다.

흔히 대인배상1의 보장이 1억 5천으로 알고 계시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사고 피해자가 사망했을 경우에만 지급되는 금액으로 사망이 아닌 상해의 경우 아래에서 소개하는 상해 등급에 따른 한도가 최대로 받을 수 있는 보험금이 됩니다.

자동차보험을 구성하는 책임보험과 종합보험, 자동차보험의 구조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다른 글을 참고해 주세요.

상해등급 1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1급책임보험 한도 3천만원
1. 수술 여부와 상관없이 뇌손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고도인상해(신경학적 증상이 48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적용한다)
2. 양안 안구 파열로 안구 적출술 또는 안구내용 제거술과 의안 삽입술을 시행한 상해
3. 심장 파열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4. 흉부 대동맥 손상 또는 이에 준하는 대혈관 손상으로 수술또는 스탠트그라프트 삽입술을 시행한 상해
5. 척주(등골뼈) 손상으로 완전 사지마비 또는 완전 하반신마비를 동반한 상해
6. 척수 손상을 동반한 불안정성 방출성 척추 골절
7. 척수 손상을 동반한 척추 신연손상 또는 전위성(회전성) 골절
8. 상완신경총 완전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9. 위팔 부위 완전 절단(팔꿈치관절 부위 분리절단을 포함한다)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한 상해
10. 불안정성 골반뼈 골절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1. 비구 골절 또는 비구 골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2. 넓적다리 부위 완전 절단(무릎관절 부위 분리절단을 포함한다)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한 상해
13. 골의 분절 소실로 유리생골 이식술을 시행한 상해(근육, 근막 또는 피부 등 연부 조직을 포함한 경우에 적용한다)
14. 화상ㆍ좌창ㆍ괴사상처 등 연부 조직의 심한 손상이 몸 표면의 9퍼센트 이상인 상해
15. 그 밖에 1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상해등급 2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2급책임보험 한도 1,500만원
1. 뇌손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중등도인 상해(신경학적 증상이 48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로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적용한다)
2. 흉부 기관, 기관지 파열, 폐 손상 또는 식도 손상으로 절제 수술을 시행한 상해
3. 내부 장기 손상으로 장기의 일부분이라도 적출 수술을 시행한 상해
4. 신장 파열로 수술한 상해
5. 척주 손상으로 불완전 사지마비를 동반한 상해
6. 신경 손상 없는 불안정성 방출성 척추 골절로 수술적 고정술을 시행한 상해 또는 목뼈 골절(치돌기 골절을 포함한다) 또는 탈구로 목뼈고정기(할로베스트)나 수술적 고정술을 시행한 상해
7. 상완 신경총 상부간부 또는 하부간부의 완전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8. 아래팔 완전 절단(손목관절 부위 분리절단을 포함한다)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한 상해
9. 엉덩관절의 골절성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비구 골절을동반하지 않은 경우에 적용한다)
10. 넓적다리뼈머리 골절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1. 넓적다리뼈 윗목부 분쇄 골절, 돌기 아랫부분 분쇄 골절, 관절융기 분쇄 골절, 정강이뼈(경골) 관절융기 분쇄 골절 또는 정강이뼈 먼쪽 관절 내 분쇄 골절
12. 무릎관절의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3. 종아리 완전 절단(발목관절 부위 분리절단을 포함한다)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한 상해
14. 팔다리 연부 조직에 손상이 심하여 유리 피판술을 시행한상해
15. 그 밖에 2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상해등급 3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3급책임보험 한도 1,200만원
1. 뇌손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고도인 상해(신경학적 증상이48시간 미만 지속되는 경우로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적용한다)
2. 뇌손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중등도인 상해(신경학적 증상이 48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적용한다)
3. 단안 안구 적출술 또는 안구 내용 제거술과 의안 삽입술을시행한 상해
4. 흉부 대동맥 손상 또는 이에 준하는 대혈관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5. 절제술을 제외한 개흉 또는 흉강경 수술을 시행한 상해(진단적 목적으로 시행한 경우는 4급에 해당한다)
6. 요도 파열로 요도 성형술 또는 요도 내시경을 이용한 요도절개술을 시행한 상해
7. 내부 장기 손상(장간막 파열을 포함한다)으로 장기 적출 없이 재건수술 또는 지혈수술 등을 시행한 상해
8. 척주 손상으로 불완전 하반신마비를 동반한 상해
9. 어깨관절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0. 위팔 부위 완전 절단(팔꿈치관절 부위 분리절단을 포함한다)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1. 팔꿈치관절 부위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2. 손목 부위 완전 절단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한 상해
13. 넓적다리뼈 또는 정강이뼈 골절(넓적다리뼈머리 골절은 제외한다)
14. 넓적다리 부위 완전 절단(무릎관절 부위 분리절단을 포함한다)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5. 무릎관절의 전방 및 후방 십자인대의 파열
16. 발목관절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7. 발목관절의 손상으로 발목뼈의 완전탈구가 동반된 상해
18. 발목 완전 절단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한 상해
19. 그 밖에 3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상해등급 4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4급책임보험 한도 1천만원
1. 뇌손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고도인 상해(신경학적 증상이48시간 미만 지속되는 경우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적용한다)
2. 각막 이식술을 시행한 상해
3. 후안부 안내 수술을 시행한 상해(유리체 출혈, 망막 박리 등으로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적용한다)
4. 흉부 손상 또는 복합 손상으로 인공호흡기를 시행한 상해(기관절개술을 시행한 경우도 포함한다)
5. 진단적 목적으로 복부 또는 흉부 수술을 시행한 상해(복강경 또는 흉강경 수술도 포함한다)
6. 상완신경총 완전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7. 상완신경총 불완전 손상(2개 이상의 주요 말초신경 장애를보이는 손상에 적용한다)으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8. 위팔뼈목 골절
9. 위팔뼈 몸통 분쇄성 골절
10. 위팔뼈 위관절융기 또는 위팔뼈 먼쪽 부위 관절내 골절(경과 골절, 과간 골절, 내과 골절, 작은 머리 골절에 적용한다)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1. 노뼈 먼쪽 부위 골절과 자뼈머리 탈구가 동반된 상해(갈레아찌 골절을 말한다)
12. 자뼈 몸쪽 부위 골절과 노뼈머리 탈구가 동반된 상해(몬테지아 골절을 말한다)
13. 아래팔 완전 절단(손목관절 부위 분리절단을 포함한다)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4. 노손목관절 골절 및 탈구(손목뼈간 관절 탈구, 먼쪽 노자관절 탈구를 포함한다)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5. 손목뼈 골절 및 탈구가 동반된 상해
16. 무지 또는 다발성 손가락의 완전 절단 소실로 재접합술을시행한 상해
17. 불안정성 골반뼈 골절로 수술하지 않은 상해
18. 골반고리가 안정적인 골반뼈 골절(엉치뼈 골절 및 꼬리뼈골절을 포함한다)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9. 골반뼈 관절의 분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20. 비구 골절 또는 비구 골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상해
21. 무릎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22. 종아리 완전 절단(발목관절 부위 분리절단을 포함한다)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23. 목말뼈 또는 발꿈치뼈 골절
24. 무족지 또는 다발성 발가락의 완전 절단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한 상해
25. 팔다리의 연부 조직에 손상이 심하여 유경 피판술 또는 원거리 피판술을 시행한 상해
26. 화상, 좌창, 괴사상처 등으로 연부 조직의 손상이 몸 표면의 약 4.5퍼센트 이상인 상해
27. 그 밖에 4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상해등급 5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5급책임보험 한도 900만원
1. 뇌손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중등도에 해당하는 상해(신경학적 증상이 48시간 미만 지속되는 경우로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적용한다)
2. 안와 골절에 의한 겹보임[복시(複視)]으로 안와 골절 재건술과 사시 수술을 시행한 상해
3. 복강내 출혈 또는 장기 파열 등으로 중재적 방사선학적 시술을 통하여 지혈술을 시행하거나 경피적 배액술 등을 시행하여 보존적으로 치료한 상해
4. 안정성 추체 골절
5. 상완 신경총 상부 몸통 또는 하부 몸통의 완전 손상으로 수술하지 않은 상해
6. 위팔뼈 몸통 골절
7. 노뼈머리 또는 자뼈 갈고리돌기 골절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8. 노뼈와 자뼈의 몸통 골절이 동반된 상해
9. 노뼈 붓돌기 골절
10. 노뼈 먼쪽부위 관절 내 골절
11. 손목 손배뼈 골절
12. 손목 완전 절단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3. 무지를 제외한 단일 손가락의 완전 절단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한 상해
14. 엉덩관절의 골절성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비구 골절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에 적용한다)
15. 엉덩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6. 넓적다리뼈머리 골절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7. 넓적다리뼈 또는 몸쪽 정강이뼈의 견열골절
18. 무릎관절의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9. 무릎관절의 전방 또는 후방 십자인대의 파열
20. 무릎뼈 골절
21. 발목관절의 양과 골절 또는 삼과 골절(내과, 외과, 후과를말한다)
22. 발목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23. 그 밖의 발목뼈 골절(목말뼈 및 발꿈치뼈는 제외한다)
24. 발목발허리(리스프랑)관절 손상
25. 3개 이상의 발허리뼈 골절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26. 발목 완전 절단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27. 무족지를 제외한 단일 발가락의 완전 절단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한 상해
28. 아킬레스건, 무릎인대, 넓적다리 사두건 또는 넓적다리 이두건 파열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29. 팔다리 근육 또는 힘줄 파열로 6개 이상의 근육 또는 힘줄봉합술을 시행한 상해
30. 다발성 팔다리의 주요 혈관 손상으로 봉합술 또는 이식술을 시행한 상해
31. 팔다리의 주요 말초 신경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32. 23치 이상의 치과보철을 필요로 하는 상해
33. 그 밖에 5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상해등급 6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6급책임보험 한도 700만원
1. 뇌손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경도인 상해(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적용한다)
2. 뇌손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중등도에 해당하는 상해(신경학적 증상이 48시간 미만 지속되는 경우로 수술을 시행하지않은 경우에 적용한다)
3. 전안부 안내 수술을 시행한 상해(외상성 백내장, 녹내장 등으로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적용한다)
4. 심장 타박
5. 폐타박상(한쪽 폐의 50퍼센트 이상 면적을 흉부 CT 등에서확인한 경우에 한정한다)
6. 요도 파열로 유치 카테타, 부지 삽입술을 시행한 상해
7. 혈흉(혈액가슴증) 또는 기흉(공기가슴증)이 발생하여 폐쇄식흉관 삽관수술을 시행한 상해
8. 어깨관절의 회전근개 파열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9. 외상성 상부관절와순 파열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0. 어깨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1. 어깨관절의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2. 위팔뼈 대결절 견열 골절
13. 위팔뼈 먼쪽 부위 견열골절(외상과 골절, 내상과 골절 등에해당한다)
14. 팔꿈치관절 부위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5. 팔꿈치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6. 팔꿈치관절 내측 또는 외측 측부 인대 파열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7. 노뼈 몸통 또는 먼쪽 부위 관절외 골절
18. 노뼈목 골절
19. 자뼈 팔꿈치머리 부위 골절
20. 자뼈 몸통 골절(몸쪽 부위 골절은 제외한다)
21. 다발성 손목손허리뼈 관절 탈구 또는 다발성 골절탈구
22. 무지 또는 다발성 손가락의 완전 절단 소실로 재접합술을시행하지 않은 상해
23. 무릎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24. 무릎관절 내측 또는 외측 측부인대 파열로 수술을 시행한상해
25. 반월상(반달모양) 연골 파열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26. 발목관절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27. 발목관절 내측 또는 외측 측부인대의 파열 또는 골절을 동반하지 않은 먼쪽 정강이뼈ㆍ종아리뼈 분리
28. 2개 이하의 발허리뼈 골절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29. 무족지 또는 다발성 발가락의 완전 절단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30. 팔다리 근육 또는 힘줄 파열로 3개 이상 5개 이하의 근육또는 힘줄 봉합술을 시행한 상해
31. 19치 이상 22치 이하의 치과보철을 필요로 하는 상해
32. 그 밖에 6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상해등급 7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7급책임보험 한도 500만원
1. 다발성 얼굴 머리뼈 골절 또는 뇌신경 손상과 동반된 얼굴머리뼈 골절
2. 겹보임을 동반한 마비 또는 제한 사시로 사시수술을 시행한상해
3. 안와 골절로 재건술을 시행한 상해
4.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
5. 쇄골(빗장뼈) 골절
6. 어깨뼈(어깨뼈가시, 어깨뼈몸통, 가슴우리 탈구, 어깨뼈목, 봉우리돌기 및 부리돌기 포함) 골절
7. 견봉 쇄골인대 및 오구 쇄골인대 완전 파열
8. 상완신경총 불완전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9. 노뼈머리 또는 자뼈 갈고리돌기 골절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0. 자뼈 붓돌기 기저부 골절
11.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손상
12. 노손목관절 탈구(손목뼈간관절 탈구, 먼쪽 노자관절 탈구를 포함한다)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3. 노손목관절 골절 및 탈구(손목뼈간관절 탈구, 먼쪽 노자관절 탈구를 포함한다)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4. 손배뼈 외 손목뼈 골절
15. 손목 부위 손배뼈ㆍ반달뼈 사이 인대 파열
16. 손목손허리뼈 관절의 탈구 또는 골절탈구
17. 다발성 손허리뼈 골절
18. 손허리손가락관절의 골절 및 탈구
19. 무지를 제외한 단일 손가락의 완전 절단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20. 골반뼈 관절의 분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21. 엉덩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22. 종아리뼈 몸통 골절 또는 뼈머리 골절
23. 발목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24. 발목관절 내과, 외과 또는 후과 골절
25. 무족지를 제외한 단일 발가락의 완전 절단 소실로 재접합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26. 16치 이상 18치 이하의 치과보철을 필요로 하는 상해
27. 그 밖에 7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상해등급 8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8급책임보험 한도 300만원
1. 뇌손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경도인 상해(수술을 시행하지않은 경우에 적용한다)
2. 위턱뼈, 아래턱뼈, 이틀뼈 등의 얼굴 머리뼈 골절
3. 외상성 시신경병증
4. 외상성 안검하수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5. 복합 고막 파열
6. 혈흉 또는 기흉이 발생하여 폐쇄식 흉관 삽관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7. 3개 이상의 다발성 갈비뼈 골절
8. 각종 돌기 골절(극돌기, 가로돌기) 또는 후궁 골절
9. 어깨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0. 위팔뼈 위관절융기 또는 위팔뼈 먼쪽 부위 관절 내 골절(경과 골절, 과간 골절, 내과 골절, 작은 머리 골절 등을 말한다)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1. 팔꿈치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2. 손허리뼈 골절
13. 손가락뼈의 몸쪽 손가락뼈 사이 또는 먼쪽 손가락뼈 사이골절 탈구
14. 다발성 손가락뼈 골절
15. 무지 손허리손가락관절 측부인대 파열
16. 골반고리가 안정적인 골반뼈 골절(엉치뼈 골절 및 꼬리뼈골절을 포함한다)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7. 무릎관절 십자인대 부분 파열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8. 3개 이상의 발허리뼈 골절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9. 손발가락뼈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20. 팔다리의 근육 또는 힘줄 파열로 하나 또는 두 개의 근육또는 힘줄 봉합술을 시행한 상해
21. 팔다리의 주요 말초 신경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상해
22. 팔다리의 감각 신경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23. 팔다리의 다발성 주요 혈관손상으로 봉합술 혹은 이식술을시행한 상해
24. 팔다리의 연부 조직 손상으로 피부 이식술이나 국소 피판술을 시행한 상해
25. 13치 이상 15치 이하의 치과보철을 필요로 하는 상해
26. 그 밖에 8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상해등급 9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9급책임보험 한도 240만원
1. 얼굴 부위의 코뼈 골절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2. 2개 이하의 단순 갈비뼈 골절
3. 고환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4. 음경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5. 복장뼈(흉골) 골절
6. 추간판 탈출증
7. 흉쇄관절 탈구
8. 팔꿈치관절 내측 또는 외측 측부 인대 파열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9. 노손목관절 탈구(손목뼈간관절 탈구, 먼쪽 노자관절 탈구를포함한다)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0. 손가락뼈 골절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1. 손가락관절 탈구
12. 무릎관절 측부인대 부분 파열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3. 2개 이하의 발허리뼈 골절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4. 발가락뼈 골절 또는 발가락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상해
15. 그 밖에 견열골절 등 제불완전골절
16. 아킬레스건, 무릎인대, 넓적다리 사두건 또는 넓적다리 이두건 파열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17. 손가락ㆍ발가락 폄근힘줄 1개의 파열로 힘줄 봉합술을 시행한 상해
18. 팔다리의 주요 혈관손상으로 봉합술 혹은 이식술을 시행한상해
19. 11치 이상 12치 이하의 치과보철을 필요로 하는 상해
20. 그 밖에 9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상해등급 10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10급책임보험 한도 200만원
1. 3cm 이상 얼굴 부위 찢김상처(열상)
2. 안검과 누소관 찢김상처로 봉합술과 누소관 재건술을 시행한 상해
3. 각막, 공막 등의 찢김상처로 일차 봉합술만 시행한 상해
4. 어깨관절부위의 회전근개 파열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5. 외상성 상부관절와순 파열 중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6. 손발가락관절 골절 및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7. 다리 3대 관절의 혈관절증
8. 연부조직 또는 피부 결손으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9. 9치 이상 10치 이하의 치과보철을 필요로 하는 상해
10. 그 밖에 10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상해등급 11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11급책임보험 한도 160만원
1. 뇌진탕
2. 얼굴 부위의 코뼈 골절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는 상해
3. 손가락뼈 골절 또는 손가락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4. 발가락뼈 골절 또는 발가락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5. 6치 이상 8치 이하의 치과보철을 필요로 하는 상해
6. 그 밖에 11급에 해당한다고

상해등급 12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12급책임보험 한도 120만원
1. 외상 후 급성 스트레스 장애
2. 3cm 미만 얼굴 부위 찢김상처
3. 척추 염좌
4. 팔다리 관절의 근육 또는 힘줄의 단순 염좌
5. 팔다리의 찢김상처로 창상 봉합술을 시행한 상해(길이에 관계없이 적용한다)
6. 팔다리 감각 신경 손상으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7. 4치 이상 5치 이하의 치과보철을 필요로 하는 상해
8. 그 밖에 12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상해등급 13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13급책임보험 한도 80만원
1. 결막의 찢김상처로 일차 봉합술을 시행한 상해
2. 단순 고막 파열
3. 흉부 타박상으로 갈비뼈 골절 없이 흉부의 동통을 동반한상해
4. 2치 이상 3치 이하의 치과보철을 필요로 하는 상해
5. 그 밖에 13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상해등급 14급

교통사고 상해등급 14급책임보험 한도 50만원
1. 방광, 요도, 고환, 음경, 신장, 간, 지라 등 내부장기 손상(장간막파열을 포함한다)으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해
2. 손발가락 관절 염좌
3. 팔다리의 단순 타박
4. 1치 이하의 치과보철을 필요로 하는 상해
5. 그 밖에 14급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상해

지금까지 교통사고 상해등급과 각 상해 등급에 따른 책임보험 한도까지 정리해 드렸는데요. 유용한 정보가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참고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

    ⬅️공유하기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웰체이스는 쿠팡파트너스 및 제휴 마케팅으로 소정의 활동비를 지급받습니다. 여러분의 구매 가격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error: 보호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