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브라우저 폰트 변경 하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크롬, 엣지, 웨일 브라우저에서 기본 폰트(글꼴)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잘 따라오시길 바랍니다.
윈도우 11에서 인터넷 브라우저 폰트 변경에 사용할 새로운 폰트를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고 싶다면 아래의 글 두 개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인터넷 브라우저 폰트 변경 방법
구글 크롬 폰트 변경
구글 크롬에서 폰트를 변경하기 위해 설정으로 가기 위해서는 일단 브라우저 오른쪽 상단의 세로로 점 세 개가 있는 메뉴를 클릭하고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크롬 설정 창이 나타나면 왼쪽에서 모양 탭을 클릭하고 오른쪽에 나오는 설정을 아래로 스크롤해서 위의 이미지처럼 글꼴 맞춤설정으로 들어갑니다.
글꼴 맞춤 설정에서 개별적인 상황에서의 글꼴을 설정할 수 잇습니다. 개별적으로 다른 글꼴을 설정해도 좋지만 여러 글꼴이 섞이면 피곤할 수 있기 때문에 산술 글꼴을 제외한 나머지를 동일하게 맞추는 것을 추천합니다.
MS 엣지 폰트 변경
엣지 브라우저도 크롬과 동일하게 오른쪽에서 메뉴를 열고 설정으로 들어가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브라우저마다 글꼴 폰트 변경의 위치가 조금씩 다른데, 엣지의 경우에는 오른쪽의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탭에서 글꼴 항목의 글꼴 사용자 지정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글꼴 사용자 지정으로 들어가면 위의 이미지처럼 원하는 대로 글꼴을 지정하여 폰트를 변경할 수 있게 됩니다.
네이버 웨일 폰트 변경
네이버 웨일은 크롬, 엣지와 동일한 크로미움 기반이기 때문에 역시 오른쪽 상단의 메뉴에서 설정에 진입하는 과정이 동일합니다.
웨일의 경우 크롬과 동일하게 왼쪽의 모양 탭에서 글꼴 맞춤설정으로 폰트 변경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글꼴 맞춤설정에서 원하는 글꼴을 선택하여 글꼴을 변경해 줄 수 있습니다.
인터넷 브라우저 폰트 변경 자주하는 질문
세리프, 산세리프, 고정폭 글꼴이 무엇인가요?
브라우저 글꼴 설정에서 보이는 위의 세 가지가 어떤 의미인지 궁금해 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일단 세리프(Serif)는 글자 획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은 것을 의미합니다. 궁서체처럼 글자의 굵기가 가변적인 글꼴을 의미하죠.
산세리프(Sans-Serif)의 경우 이와 반대로 모든 획의 굵기가 동일한 것입니다. 기본 글꼴에서 바탕체가 이런 산세리프 폰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고정폭 글꼴의 경우 글자에 따라서 차지하는 좌우 넓이가 동일한 글꼴을 이야기합니다. 모든 문자의 좌우폭이 동일한 것은 가독성에도 영향을 주지만 코딩 등이나 사이트 설계에서 요소의 위치를 정할 때 편리함이 크기 때문에 사용을 꽤 하는 편입니다.
제가 소개하는 방식으로 글꼴을 개별 설정하면 위에서 설정하는 각각의 의미와는 상관없이 웹사이트에서 설정한 해당 폰트가 모두 설정한 폰트로 나오게 되기 때문에 기왕 설정하실 거라면 모든 폰트를 동일한 폰트로 맞추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설정한 폰트로 모든 사이트 글꼴이 통일되지 않아요.
기본적으로 브라우저의 설정 폰트가 나오는 상황은 사이트에서 폰트의 구성을 설정해 두지 않았을 때입니다.
브라우저에서 기본 폰트를 설정했더라도 본인이 사용하는 사이트에서 이미 기본으로 지정한 폰트가 있다면 해당 폰트의 글꼴이 우선적으로 나오게 되기 때문에 모든 사이트에서 동일한 글꼴을 보기는 어렵습니다.
위의 다음 사이트 예시처럼 다음에서 기본으로 설정한 폰트가 존재하는 메뉴에서는 제가 설정한 폰트가 보이지 않지만, 브라우저 폰트가 적용되는 광고 영역에서는 제가 설정한 폰트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글자가 중심이 되는 대부분의 사이트와 컨탠츠는 사용자의 편의성 등 다양한 이유로 브라우저 글꼴을 따르게 때문에 가독성이 좋은 글꼴로 변경을 하면 충분히 도움이 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인터넷 브라우저 폰트 변경법을 크롬, 엣지, 웨일 브라우저 순서로 알아보고 몇 가지 자주 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도 드렸는데요. 눈에 잘 맞는 폰트로 변경하여 편안한 인터넷 생활 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