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 취등록세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중고차 거래 전에 취등록세 계산을 미리 해보고 싶다면 이 글을 잘 보고 따라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중고차 취등록세 계산기 : 자동차365
자동차365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로 자동차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이 사이트에서는 자동차 거래의 편의성을 위해서 중고차 취등록세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방법은 어렵지 않으니 잘 따라오시면 됩니다. 자동차365 사이트 링크는 설명이 마지막에 첨부하였습니다.
자동차 취등록세의 세율과 차종에 따른 계산방법, 감면조건 등이 궁금하신 경우에는 아래의 다른 글을 참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자동차365에서 중고차 매매에서 중고차 등록비용으로 들어가기
자동차365 사이트 상단에 있는 중고차 매매 탭으로 들어가 아래로 스크롤을 내려서 중고차 등록비용으로 들어갑니다. 이미지에는 바로 있지만 편의를 위한 것으로 스크롤을 꽤 내려주셔야 합니다.
중고차 취등록세 계산기(등록비용 계산기)에서 상세정보 입력하기
중고차 등록비용으로 들어가면 중고차 취등록세 계산기(등록비용 계산기)가 나옵니다. 여기에서 차량의 가격과 거주지역, 차종과 배기량 등을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누르면 되는데요. 그전에 미리 확인할 것이 있습니다.
차량가액 조회 하기
차량가액 뜻(시가표준액)
중고차 취등록세 계산에서 주의할 점은 차량가액으로 취등록세가 산정될 때가 있다는 것입니다.
차량가액 또는 시가표준액은 신차의 가격에서 운행기간을 감안하여 계산하는 차량 가격으로 매매 가격과 상관없이 세금이나 보험 등에 사용되는 차량의 공식적인 가격입니다. 부동산 거래에서 대출에서 사용하는 부동산 공시지가 또는 감정평가가격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중고차 취등록세를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금액은 매매가격과 차량가액 중 더 비싼쪽을 따르게 되어있기 때문에 정확한 취등록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차량가액 조회를 한번 거치시는 게 좋습니다.
차량가액 조회를 하기 위해서는 구매하려는 차량의 자동차등록증을 확인하여 형식번호와 연식을 정확하게 아셔야 합니다. 차량마다 다르게 각인되는 차대번호는 형식번호와 다른 것입니다.
매매가가 차량가액보다 싼 경우
이 차량가액(시가표준액)은 중고차 매매가보다 쌀 수도 있고 비쌀 수도 있습니다. 애초에 이 가격은 차량의 신차가격에서 운행기간의 감가를 공식으로 대입해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중고차 시세와 따로 노는 상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죠. 중고차 취등록세 계산기에서 계산하기 왼쪽의 차량가액 조회를 누르면 차량가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2021년식 아반떼를 찾아 차량가액을 계산해 보았습니다. 기준 가격은 19,050,000원에 잔가율은 72.5%로 차량가액은 13,811,250원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이 가격이 매매가보다 비싸다면 바로 계산하기를 누릅니다.
여기에서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지역에 따른 취등록세가 계산이 되어 나오게 됩니다. 위에서 검색했던 2021년식 아반떼의 중고차 취등록세는 966,787원입니다.
매매가가 차량가액보다 비싼 경우
매매가가 차량가액보다 비싼 경우라면 위의 차량가격을 매매가로 변경하여 계산하기를 다시 눌러주면 됩니다.
매매가를 차량가액보다 비싼 1,500만원으로 하여 계산하기를 누르니 취등록세는 105만원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이제 설명을 마쳤으니 직접 자동차365에서 중고차 취등록세를 계산해 보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중고차 취등록세 계산기를 소개하고 사용법을 설명해 드렸는데요. 유용한 정보가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