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넷플릭스 4K 화질 설정과 컴퓨터, 스마트 기기에서 가능한 넷플릭스 4K 해상도 설정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넷플릭스로 고화질 영상을 보고 싶은 분들을 위해 모든 준비물을 다 정리해 보았으니 참고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TV 넷플릭스 4K 화질 설정
1. 넷플릭스 4K 화질을 위해서 필요한 것
1-1. 넷플릭스 4K 가능 요금제
TV, 컴퓨터 등에서 넷플릭스 4K 해상도로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일단 4K 해상도를 지원하는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어야 합니다. 아래에서 넷플릭스 요금제표와 각각의 내용을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넷플릭스 요금제
요금제 | 프리미엄 | 스탠다드 | 베이직 | 광고형 스탠다드 |
---|---|---|---|---|
요금 | 17,000원 | 13,500원 | 9,500원 | 5,500원 |
화질 | 4K-UHD | FHD | HD | FHD |
동시접속 | 4명 | 2명 | 1명 | 2명 |
컨텐츠 저장기기 | 6대 | 2대 | 1대 | 2대 |
인원 추가 5,000원(1인) | 최대 2명 | 최대 1명 | 불가 | 불가 |
공간음향 | 지원 | 미지원 | 미지원 | 미지원 |
넷플릭스 4K 해상도를 TV,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넷플릭스 프리미엄 요금제가 필요합니다. 최대 4명의 동시 접속이 가능하며 여기에 추가로 2명의 인원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돌비 공간 음향을 통한 하이파이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넷플릭스 프리미엄 요금제가 필수적입니다.
1-2. 초당 25MB 이상의 인터넷 연결 속도
넷플릭스 4K UHD 해상도 영상을 위해서는 인터넷 속도도 어느 정도 뒷받침이 되어야 합니다. 넷플릭스는 초당 15Mbps 가량의 다운로드 속도를 4K 해상도 인터넷 속도로 권장하지만, 일반적으로 문제없이 영상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25Mbps의 인터넷 속도가 필요 하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본인의 인터넷 속도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1-3. 4K 해상도를 지원하는 TV, 모니터, 컴퓨터
당연하겠지만 4K 해상도를 직접 출력할 TV나 모니터, 컴퓨터가 4K를 지원하지 못한다면 넷플릭스 4K도 불가능합니다. 가지고 계신 모니터, TV의 최대 해상도가 4K가 맞는지 먼저 확인해 보세요.
컴퓨터의 경우 엔비디아, 또는 AMD의 외장 그래픽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4K 해상도는 문제 없이 출력을 해줄 것입니다. CPU의 내장 그래픽을 이용하는 경우 인텔 7세대 이상의 CPU가 필요하고, AMD의 경우 라이젠 CPU라면 내장 그래픽이 있는 제품들은 모두 4K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논리로 자체적으로 넷플릭스 앱을 내장한 스마트TV가 아니라 셋톱박스를 개별적으로 활용하는 경우, 연결된 셋톱박스가 4K UHD를 지원해야 합니다. 통신사 셋톱박스는 대부분 이를 지원하지만, 간혹 유튜브, 넷플릭스, OTT 용으로 판매되는 개별 제품의 경우 저가형에서 해상도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1-4. 4K 해상도를 지원하는 영상 케이블(HDMI, DP)
4K영상을 위해서는 케이블도 신경을 쓰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TV 연결에 사용되는 HDMI 케이블의 경우에는 HDMI 2.0버전 이상의 케이블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컴퓨터에 연결 시에 HDMI와 함께 자주 사용되는 DP 단자의 경우 1.2버전 이상이면 4K 해상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HDMI의 경우 TV와 마찬가지로 2.0버전 이상이 필요합니다.
1-5. 넷플릭스 4K 재생이 가능한, 브라우저 또는 프로그램
TV에서 넷플릭스를 시청하는 경우 대부분 전용 앱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항목은 크게 신경 쓰실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윈도우 컴퓨터나 맥(MAC)에서 넷플릭스 4K 영상을 보려고 한다면 이 항목을 함께 살펴봐 주시길 바랍니다. 윈도우, 맥용으로 나오는 넷플릭스 앱이 오류가 많고 느리기 때문에 4K를 지원하는 브라우저를 쓰는 게 훨씬 좋습니다.
주요 브라우저 넷플릭스 해상도 지원표
브라우저 앱 | 최대 해상도 HDR 지원 |
---|---|
크롬 | HD |
엣지 | 4K-UHD HDR 지원 |
파이어폭스 | HD |
오페라 | HD |
넷플릭스 앱 | 4K-UHD HDR 지원 |
사파리 (MAC) | 4K-UHD HDR 지원 |
위의 내용을 빠짐없이 확인하셨다면 아래와 같이 넷플릭스 4K 설정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2. 넷플릭스 4K TV, 컴퓨터 설정
2-1. 넷플릭스 사이트 접속하여 계정 정보 들어가기
먼저 인터넷 브라우저로 넷플릭스 사이트로 들어가 로그인을 해줍니다. 프로필 선택 화면에서 4K로 설정할 프로필을 클릭하여 접속해주세요.
반드시 넷플릭스 어플, 앱이 아니라 브라우저를 통해서 넷플릭스 사이트로 접속하셔야 합니다.
2-2. 계정 정보에서 프로필 설정으로
넷플릭스 사이트에 접속 후 오른쪽 상단에 프로필 이미지를 클릭한 다음 나오는 드롭다운 메뉴에서 계정을 클릭하여 계정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계정 설정 화면에서 아래로 조금 내려가면 프로필 설정이 나타나는데요. 여기에서 4K로 설정하길 원하는 프로필 & 자녀 보호 설정을 선택해 줍니다.
2-3. 프로필 & 자녀 보호 설정에서 재생 설정 4K-UHD 설정하기
프로필 & 자녀 보호 설정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설정 가능 항목이 나타나는데요. 여기에서 아래쪽에 있는 재생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4K 해상도 영상을 위해서는 아래의 설정에서 자동 또는 고화질을 설정하면 됩니다.
설정을 마친 후 저장 버튼을 누르는 것을 잊지 마세요.
정상적으로 설정되고 다른 문제가 없다면 영상 재생 시에 뜨는 정보 화면에서 4K 문구가 노출되면서 4K UHD 영상이 노출됩니다.
3. 넷플릭스 4K 설정 Q&A
자동과 고화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재생 설정의 자동 화질 모드는 인터넷 속도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화질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회선의 연결이 나쁘다면 재생 화질이 조금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고화질 모드의 경우 인터넷 속도와 상관없이 하드웨어가 허락하는 최대 해상도로 영상을 재생하려고 합니다.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할 경우 영상이 끊길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면 됩니다.
아이디에서 한번에 화질을 설정할 수는 없나요?
아쉽게도 넷플릭스의 해상도 설정은 프로필 단위로 밖에는 진행되지 않습니다. 여러 프로필에서 4K 설정을 하시려면 번거롭더라도 위의 과정을 설정하려는 계정의 숫자 만큼 반복해 주셔야 합니다.
4K 설정을 했는데 영상 정보에 4K 마크가 뜨지 않습니다.
넷플릭스에 있는 오래된 영상은 4K 해상도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모든 설정이 제대로 되었더라도 4K 해상도가 나오지 않는 것이 정상입니다.
만일 영상이 4K를 지원하는데, 4K로 나오지 않는다면 위에 [1. 넷플릭스 4K 화질을 위해서 필요한 것]에서 빠뜨린 항목이 없었는지 한번 더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DP 케이블을 연결했는데 4K 해상도가 안 뜹니다.
모니터와 컴퓨터가 모두 4K 해상도를 지원하는데 DP 케이블에서 4K 영상이 나오지 않는 경우, 케이블의 불량이 아니라면 연결한 모니터가 HDCP 2.2를 DP포트에서 지원하지 않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HDCP는 영상의 저작권 관련된 규격으로 모니터 스펙에서 HDCP 2.2를 지원한다고 밝히고 있는 경우에도 주로 사용하는 HDMI 포트에 한정된 경우가 가끔 발생합니다. 그런 경우 HDMI 2.0 이상의 케이블을 사용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이런 문제를 피하고 싶다면 모니터 제조사에 DP포트에서 HDCP 2.2를 정상적으로 지원하고 있는지 문의해 보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컴퓨터 TV 넷플릭스 4K 화질 설정과 넷플릭스 4K 화질 설정을 위한 준비, 그리고 문제 시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보았는데요. 유용한 정보가 되셨기를 바랍니다.